[Office 365 on Mac] Excel 검색 속도 빠르게 하기

Mac 사용법|2019. 3. 3. 07:00

안녕하세요. ST03 입니다.

Mac 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여러가지 이유로 Microsoft 의 Office 제품들을 사용하시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아무래도 협업하는 입장에서 다른 사람들은 다들 윈도우와 오피스를 사용하는데 Mac 을 쓴다고 안 쓸 수는 없기 때문이겠죠.


예전 Office 2011 까지는 Mac 버전에서 저장 한 자료가 Windows 에 가면 화면 구성이 깨진 다거나 폰트가 없어 진다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Office 365 에서는 그런 일이 없어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.


아직은 몇 가지 기능적인 면에서 불편한 경우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Excel 에서 검색 기능 입니다.

문제점과 해결 방법을 확인 해 봅시다.


이는 Office 365 버전 16.22 (190211) 에서 존재하는 이슈로 향후 해결이 되기를 바랍니다.


#1 보통의 검색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

보통의 경우 Mac 에서의 command  + F 버튼을 통해서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을 통해 검색을 진행 합니다.

보통은 이 것으로도 충분하지만, 업무용 Excel 의 경우 많은 데이터 레코드 중에서 찾아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검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

대략 20MB 가 넘어가는 엑셀 파일에서 단독 레코드를 찾습니다.


Excel 의 CPU 사용량이 높게 올라가는데 엑셀에서는 관련 레코드를 찾지 못 합니다.


해당 기능은 Mac 의 색인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찾는 기능인데 엑셀 내부의 레코드는 Mac 에서 색인이 되어 있지 않아 순차 검색을 하다 보니 빠르게 검색하지 못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.


#2 Excel 내부의 검색 기능 활용하기

기본 검색기능 말고 Excel 내부의 검색 기능을 사용해 봅시다. 사용 방법은 Control ⌃ + F 입니다.

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검색 창이 나오고 이를 통해서 검색하면 기본 검색 보다 더 빠르고 적은 CPU 사용으로 원하는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

최대 사용 CPU 가 기존에 비해 훨씬 적고 속도 자체도 굉장히 빠릅니다.




'Mac 사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ac 프로그램 추천] HomeBrew 설치하기  (0) 2019.03.02

댓글()

[Mac 프로그램 추천] HomeBrew 설치하기

Mac 사용법|2019. 3. 2. 09:00

안녕하세요. ST03 입니다.

Mac 을 사용하다가 보면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HomeBrew 입니다.

많은 경우 별 문제 없이 설치가 되지만, 초반에 헤메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한 번 같이 설치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
#1 Home Brew 란?

보통 HomeBrew 를 설치하시는 분들은 별다른 이유가 있다기 보다는 설치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이 HomeBrew 를 통해 설치 하라고 해서 인 경우가 많습니다.



HomeBrew 의 원래 사용 목적은 HomeBrew 를 통해서 설치하는 프로그램들의 관리 입니다. 설치, 버전관리, 삭제 등을 포함 합니다. - Mac 에서는 이런 관리 프로그램이 없는 게 단점이라면 단점이죠.

때문에 많은 경우 개발자 분들이 사용 하시지만 요즘에는 일반 유저들 사이에서도 Mac 을 조금 더 생산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설치하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.


#2 설치 준비하기

HomeBrew 는 설치부터 사용까지 모두 command 창을 기반으로 합니다. (검은 바탕에 하얀 글자)

Mac 에서는 터미널이라 불리우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이를 띄워 놓습니다. 

Mac 에서 찾기 (command + space) 를 이용해서 터미널을 실행 시킵니다.


띄워진 화면에서 현재의 SHELL 종류를 확인 합니다. (파란색에 들어가 있는 내용을 입력 하시면 됩니다)

>echo $SHELL 입력

[MacforST03:~] st03% echo $SHELL

/bin/csh

[MacforST03:~] st03%


위와 같이 csh 이라고 나왔다면 변경이 필요 합니다. bash 가 나와야 homebrew 가 제대로 설치 됩니다.

[MacforST03:~] st03% chsh -s /bin/bash

Changing shell for st03.

Password for st03: [로그인 비밀번호 입력]

[MacforST03:~] st03% 


아쉽게도 현재 화면에서 바로 적용이 되지는 않고 새로운 창 부터 적용이 됩니다.

상단에 있는 메뉴를 통해 새로운 화면을 띄워 봅시다.


새롭게 나온 화면에서 똑같이 확인 해 봅니다.

[MacforST03:~] st03% echo $SHELL

/bin/bash

[MacforST03:~] st03%


위 처럼 bash 라고 나오면 성공 입니다.


혹시 모르니 인터넷 연결이 잘 되어 있는지도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. 이 2가지가 정상이라면 설치 준비 완료 입니다.


#3 HomeBrew 설치하기

설치는 HomeBrew 홈페이지에 가 보면 설치 스크립트가 나와 있습니다.

중간에 있는 내용을 복사해서 조금 전에 새롭게 띄워 놓은 터미널 창에서 수행 합니다.




[MacforST03:~] st03% /usr/bin/ruby -e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master/install)"


이후 몇 번의 엔터 뒤에 HomeBrew 가 설치 됩니다.

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 하기 위해 버전 확인을 해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올 것 입니다.


[MacforST03:~] st03% brew --version

Homebrew 2.0.2

Homebrew/homebrew-core (git revision 850c5; last commit 2019-02-28)

[MacforST03:~] st03% 



별개로 저와 같이 shell 을 바꿔야 했던 경우라면 원상복구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

[MacforST03:~] st03% chsh -s /bin/csh


'Mac 사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Office 365 on Mac] Excel 검색 속도 빠르게 하기  (0) 2019.03.03

댓글()